
한국에서 새로 지어진 아파트를 사기 위한 여러 방법이 있지만 대부분의 시민들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청약'일 것입니다. 특히 미리 당첨이 되고 나중에 입주하는 형태여서 국민들에게는 닿기 어려웠던 '내 집마련'의 목표달성을 한 기분이 들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청약제도는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청약제도의 역사와 종류 한국의 주택청약제도 자체는 1977년 「국민주택 우선공급에 관한 규칙 (주택공급규칙)」이 만들어지면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국민주택기금을 지원받아 건설되는 공공주택에만 적용되었으나, 차츰 민영주택에도 청약제도를 적용하면서 현재 청약제도와 같이 정립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시행 초기에는 청약 요건이 전혀 까다롭지 않았습니다. 가족이 있는 무주택 세대..
부동산일기
2023. 6. 27. 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