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최근 전세 사기로 인해 경매로 나온 주택의 수가 특별하게 많다는 것을 다 아실 것입니다. 어릴 적부터 집이 ‘경매 넘어간다’ 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것이며 TV속에서 집안 살림에 ‘빨간 딱지’ 가 붙은 장면을 강렬히 기억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 경매는 무엇이고 어떻게 진행되는지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경매에 나오는 용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경매용어 경매: 경매라는 용어는 기본적으로는 물건이나 서비스 등을 매각하기 위해 입찰 경쟁을 통해 가격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흔히 말하는 경매는 채무자의 부동산을 담보로 잡은 채무를 변제받기 위해 법원에 신청하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공매: 국가기관이 주체가 되는 것이 공매인데 ..

한국의 주택난의 원인 먼저 대한민국의 절대적인 토지가 매우 한정적이며 특히 국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산지를 제외하고 나면 거주지로 주택을 건설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인구가 과밀하게 집중된 수도권에서 주택 수요가 공급을 넘어섭니다.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은 특히 자가점유율이 43%로 50% 이상의 서울 거주자는 전세와 월세를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하고 있습니다. 길에서 마주한 사람의 2명 중 1명은 임차인일 확률이 높은 것입니다. 조사된 주택 보급률은 104%로 충분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빈집, 노후주택, 반전세, 고시원 등 좋지 않은 환경의 가구 수가 많고 또한 가구수는 외국인 가구는 제외하고 산출되어 실제보다 수치가 높게 보입니다.이처럼 한정적인 거주지역에 쾌적하고 편리한 인프라를..

임대차 계약 용어 임대차 계약 용어 주택 임대차 계약서에 나오는 용어는 많은 분들에게 생소하고 어렵게 느껴집니다. 계약 시 나오는 용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주택 임대차 계약서는 임대인과 임차인이 주택의 임대 차에 관한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는 공식적인 문서로 주택 임대차 계약서에는 다음과 같은 용어가 나올 수 있습니다. - 임대인 : 가장 쉽게 집주인이며 본인의 집이나 부동산을 타인에게 빌려주고 사용 대금을 받는 사람입니다. - 임차인 : 임차인은 반대로 주택, 상가, 토지 등 부동산을 빌리는 사람을 말합니다. 일정 기간 계약을 맺고 사용료를 지불합니다. - 보증금 :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빌리는 동안 주택을 사용하기 위해 미리 지불하는 금액으로 보증금은 임대기간이 끝나면 원금 그대로 돌려받아..

전세 제도란? 전세 제도의 역사 전세 제도란? 전세 제도의 역사 전세 제도는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서만 존재하는 특이한 주거형태로 알려져 있습니다. 임차인이 집주인에게 집값의 50~80% 해당하는 금액을 보증금을 내고 계약기간 동안 거주하는 것입니다. 대한민국의 전세제도 역사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아래와 같은 추측이 있습니다. - 조선시대 가사전당 : 조선시대에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목돈을 빌려주고 집을 빌려 쓰는 가사전당 제도가 전세제도의 전신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이 제도는 빚에 대한 담보로 논과 밭을 넘기는 전당 제도가 집에도 적용된 것이며 퇴계 이황 선생님도 이를 이용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 강화도 조약 이후 : 1876년 강화도 조약 이후 부산과 인천, 원산 등 3개 항구가 개항되고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