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매년 6월이면 어김없이 날아오는 재산세 고지서! 오늘은 재산세 조회방법과 납부기간, 그리고 납부 방법에 대해 총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 재산세 조회 납부 총정리

 

재산세란? 

재산세는 말 그대로 국민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 건축물, 주택 등 재산에 대해 정기적으로 걷는 세금을 말합니다. 특히 재산세는 '지방세'의 한 종류입니다. 지자체에서 부과하며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물건 소유자에게 세금이 부과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매년 3-4월에 다주택자, 법인이 재산세 부담을 피하기 위해 급매로 던져지는 물건도 종종 있으니 참고하세요 :) 또한 이런 기준일을 모른 채로 5월 30일에 계약을 완료한다면 재산세는 매수자의 부담이 되는 것도 꼭 아셔야 합니다. 

 

재산세 계산 방법

재산세는 법인이나 개인 모두 동일한 세율이 적용되어 어렵지않게 계산과 조회가 가능합니다. 먼저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만약 제가 아파트를 1채를 가지고 있다고 칩시다. 그럼 제가 아파트를 매매한 금액이 아닌 국가에서 책정한 물건 금액의 기준으로 세율이 정해집니다. 그럼 국가가 정한 물건 값은 어디서 알아보는가? 국가가 정한 값, 그게 바로 '공시지가'이고 바로 '공시지가알리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이트에 들어가서 상단을 확인하세요! 아파트 가격 검색을 하고 싶다면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클릭하여 내 주소지를 입력하면 됩니다. 토지의 경우 '개별 공시지가'를 보셔야 합니다. 미리미리 내 재산의 공시 가격을 알아두는 게 좋겠죠? 

 

공시지가 확인하기

 

국토부 공시가격 알리미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재산세는 어떻게 구해야 될까요? 

재산세 산출 방법은  내 재산의 공시가격 X 공정시장가액비율 (아래참고) X 표준세율(아래 참고) -감면혜택 - 세부담 상한 초과액  = 내 재산세 가 됩니다. 복잡하게 느껴지시겠지만 아래 각각의 표를 참고하면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 2023 공정시장가액비율  

구분 3억 이하 3억 초과 6억 이하  6억 초과
1세대 1주택 43% 44% 45%(2022 동일함)
다주택자, 법인 60% 

* 공정시장가액 비율 주택 60%, 건물/토지 : 70% 

만약 1주택자면서 3억 이하의 아파트를 보유한다면 43% 를 곱하면 됩니다. 그럼 표준세율도 한번 알아봅시다.

 

* 재산세 표준세율 (주택기준) 

재산세 표준세율은 현재 1세대 1 주택자를 대상으로 특례세율을 적용하여 그 과세 부담을 줄여준다고 하네요.

과세표준 표준세율 *세율특례*
6천만원 이하 0.1% 0.05%
6천만원 초과 1.5억 이하 60,000원+6천만원 초과 금액의 0.15% 30,000원+6천만원 초과 금액의 0.1%
1.5억 초과 3억 이하 195,000원+1억5천 초과 금액의 0.25% 120,000원+1.5억 초과 금액의 0.2%
3억원 초과 5.4억 이하 570,000원+3억원 초과 금액의 0.4% 420,000원+3억 초과 금액의 0.35%
5.4억 초과  

감면에 대해서는 '지방세특례제한법'에 따른 감면과 '세부담 상한 초과액' 감면이 있습니다. 위 두 가지에 대해서는 따로 포스팅을 작성하여 업데이트하겠습니다! 그럼 한 번에 내 재산세를 조회하는 방법을 살펴볼게요. 

 

 

재산세  조회 방법

지방세에 속하기 때문에 '위택스' 를 방문합니다. 간편 로그인을 해주고 납부하기 > 지방세로 들어가면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조회 기간을 넓게 잡아주셔야 내 물건이 확인되니 이 부분 참조해 주세요. 위택스는 아래를 클릭하면 방문하실 수 있습니다.  

 

재산세 조회하기 (위택스)

 

위택스 로그인 화면

재산세  납부 방법

재산세는 가상계좌, 신용카드 모두 가능하며 납부 기간은 보유하고 있는 물건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아래의 표를 참조하세요! 납부 세액이 250만원이 초과할 경우는 분할 납부도 가능합니다. 

물건 종류 납부 기간
선박/항공기 7월 16일 ~ 31일
토지 9월 16일 ~ 30일
건축물  7월 16일 ~ 31일
주택 (2회 분납) 1회: 7월 16일 ~ 31일 / 2회: 9월 16일~30일 

그러나 납부 기간을 어길 시 가산세 3% 추가되므로 제 기간을 꼭 맞춰 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부동산 보유시 꼭 알아야 할 지방 재산세를 알아보았습니다 :)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